최양업 신부님과 함께 걷는 교구공동체
최양업 토마스 신부님 연보
신학생 선발과 마카오 유학
- 1821년 3월 1일
충청도 홍주 다래골의 새터(현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)에서 성
최경환(프란치스코)과 하느님의 종 이성례(마리아)의 장남으로 출생. 아명은 양업, 관명은 정구
- 1827~1836년 초
부친을 따라 서울 낙동(현 회현동 부근), 강원도 김성으로 이주 했다가 부평 접프리에 정착
- 1836년 2월 6일
첫 번째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서울 후동(현 주교동)의 모방(나 베드로)신부댁에 도착
- 1836년 12월 2일
동료 최방제(프란치스코 하비에르), 김대건(안드레아)과 함께 모 방 신부 앞에서 순명과 복종을 서약
- 1836년 12월 3일
동료들과 함께 밀사 정하상(바오로), 조신철(가롤로) 등의
안내로 서울 출발
- 1836년 12월 28일
중국 봉황성 변문 도착. 조선 입국을 기다리던 샤스탕
(정 야고보) 신부와 상봉
- 1837년 6월 7일
마카오 파리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 안의 조선교구(정식 명칭은 조선대목구) 신학교(임시)에 도착. 대표 르그레즈와(베드로) 신 부, 신학교 교장 칼르리(요셉) 신부 아래서 수학
- 1837년 11월 27일
동료 최방제, 위열병으로 사망
마닐라 피신과 마카오 귀환
- 1839년 4월 6일
마카오 소요 때문에 부대표 리브와(나폴레옹) 신부, 칼르리 교장 신부 등과 함께 마닐라 피신
- 1839년 4월 19일
마닐라 도착
- 1839년 5월 3일
도미니코회의 롤롬보이(Bulacan주 Bocaue 지역) 농장으로 거처 이전
- 1839년 9월 12일
부친 최경환, 기해박해로 서울 포도청에서 옥사 순교
- 1839년 11월 말
마닐라를 거쳐 마카오로 귀환
- 1840년 1월 31일
모친 이성례, 서울 당고개에서 순교
- 1841년 11월
철학 과정 이수, 신학 과정 입문
- 1842년 2월 15일
동료 김대건, 매스트르(이 요셉) 신부와 에리곤호로 출발
마카오 출발과 소팔가자 도착
- 1842년 7월 17일
브뤼니에르(막시모) 신부, 범 요한 신학생과 함께 파보리트호를 타고 마카오 출발(1차 귀국로 탐색)
- 1842년 8월 23일
상해 오송 항구에 도착. 며칠 후 매스트르 신부, 김대건과 상봉
- 1842년 9월 10일
프랑스 군함에서 하선
- 1842년 10월 12일
상해 베시(루도비코) 주교의 주선으로 브뤼니에르 신부,
매스트르 신부, 김대건, 범 요한 등과 함께 상해 출발
- 1842년 10월 22일
요동 반도 남단 태장하(현 요녕성 장하시) 해안에 도착
- 1842년 10월 25일
백가점(현 요녕성 장하시 용화산진)
교우촌의 두 요셉 회장 집에 유숙
- 1842년 11월
개주의 양관(현 요녕성 개주시 나가점) 교우촌을 거쳐
제3대 조선 교구장 페레올(고 요한) 주교가 거처하던
팔가자(현 길림성 장춘시 합륭진 소팔가자향) 교우촌에 도착
- 1843년 3월
동료 김대건 팔가자 도착. 그에게 부친과 모친의
순교 사실을 확인
- 1843년 12월 31일
페레올 주교 성성식에 참석(개주 양관 성당)
- 1844년 4월
2월 25일 이후 김대건이 ‘팔가자·훈춘·경원’을 탐색
- 1844년 6월 2일경
최양업과 김대건, 팔가자에서 차부제 서품
- 1844년 12월 10일경
최양업과 김대건, 팔가자에서 부제 서품
사제 서품, 귀국과 선종
- 1845년 1월 1일
김대건 부제, 조선 입국에 성공
- 1845년 8월 17일
김대건 부제, 상해 김가항 성당에서 사제 서품 후 조선으로 귀국
- 1846년 1월 말
조선 귀국을 위해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훈춘 여행(2차 귀국로 탐색)
- 1846년 2월 중순
훈춘의 동강자(추정) 마을에서 경원개시를 기다리던 중, 만주 관헌에게 체포되었다가 3일 만에 석방됨. 팔가자로 귀환하여 신학생 지도
- 1846년 9월 16일
김대건 신부, 병오박해로 서울 새남터에서 순교
- 1846년 12월 말
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변문으로 감(3차 귀국로 탐색)
- 1847년 초
변문에서 병오박해 소식을 듣고, 홍콩으로 이전된 파리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로 출발. ‘기해·병오박해 순교자들의 행적’을 라틴어로 번역
- 1847년 7월 28일
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라피에르 함장의 프랑스 군함을 타고 조선으로 출발(4차 귀국로 탐색, 1차 해로 탐색)
- 1847년 8월 10일
고군산군도(현 군산시 옥도면) 부근에서 난파하여 섬에 상륙
- 1847년 8월 26일ㅈ
상해 도착 후 서가회 안에 있던 예수회 신학원에서 수학
- 1849년 4월 15일
사백주일. 상해 성당(장가루 성당 혹은 김가항 성당이나 서가회 신학원)에서 사제 서품(나폴리 성가회의 강남교구장 마레스카 주교 집전)
- 1849년 5월
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백령도 탐색 후 상해 귀환
(5차 귀국로 탐색, 2차 해로 탐색). 요동의 차구 성당
(현 요녕성 장하시 용화산진)으로 가서 베르뇌(장 시메온) 신부 (1854년 주교 서품)의 보좌로 사목 시작
- 1849년 11월 3일
매스트르 신부와 상봉
- 1849년 12월 말
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명에 따라 봉황성 변문으로 가서 귀국 시 도(6차 귀국로 탐색). 매스트르 신부와 헤어져 단신으로 귀국에 성공(13년 만에 귀국)
- 1850년 초
다블뤼 신부에게 가서 병자성사를 주고, 충청도로 가서 페레올 주교와 상봉
- 1850~1851년
진천 동골 교우촌(미상)에 거처를 두고 전국 다섯 개 도를 순방
- 1850년 9~10월
다블뤼(안 안토니오) 교장 신부가 조선교구 소신학교를 설립한 뒤, 배티(현 충북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)
교우촌에 새 교사를 마련함
- 1852년 8월
매스트르 신부, 고군산군도를 거쳐 입국에 성공
- 1853년 여름
최양업 신부, 배티 조선교구 소신학교의 지도 신부로 임명됨
- 1854년 3월
배티 소신학생 3명을 말레이시아 페낭 신학교로 유학을 보냄
- 1859년 말 이전
전국 다섯 개 도를 순방하면서 신자들을 방문
- 1860년 9월
경신박해로 죽림(현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) 교우촌에 은거함
- 1861년 6월 15일
베르뇌 주교에게 보고차 상경하던 중 과로에 장티푸스가 겹쳐 충북 진천(혹은 경북 문경)에서 선종
- 1861년 11월 초
선종지에 가매장되었던 시신이 배론(현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)으로 옮겨져 안장됨
<출처 – 『하느님의 종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서한집』, 천주교 청주교구>
You should follow us on Twitter to post something